torrc 파일에 추가할 수 있는 옵션으로 두 개가 있어요:

BandwidthRate 로 장기 대역폭 최대 허용치(bytes per second)를 설정할 수 있어요. 가령 "BandwidthRate 10 MBytes"를 10 megabytes per second (a fast connection)로 조정하거나 "BandwidthRate 500 KBytes"를 500 kilobytes per second (a decent cable connection)로 조정할 수 있어요. BandwidthRate 최소치는 75 kilobytes per second 이에요.

BandwidthBurst 짧은 시간 동안 BandwidthRate 보다 많은 트래픽이 요청된 경우 이를 충당하기 위해 사전에 모아둔 바이트 비축분을 말해요.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 볼 때 설정된 BandwidthRate의 평균치를 충족할 수 있도록 관리돼요. 즉 Rate를 낮게 설정하고 Burst를 높게 설정한 정책을 적용할 경우, 피크 시간대에 더 많은 트래픽을 받아들일 수 있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평균치를 유지할 수 있는 거예요. 예를 들어 "BandwidthBurst 500 KBytes" 로 설정하고, 동일 수치를 BandwidthRate에도 적용할 경우, 500 kilobytes per second 을 초과하지 상황이 절대 발생하지 않아요; 하지만 BandwidthBurst 를 (5 MBytes 와 같이) BandwidthRate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할 경우, 비축분이 동날 때까지 더 많은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어요.

귀하가 케이블 모뎀과 같이 (업로드가 다운로드보다 낮은) 비대칭 접속 환경 인 경우,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어요. 따라서 반드시 BandwidthRate를 대역폭(일반적으론 업로드 대역폭이에요) 대비 낮게 설정해야 해요. 그렇게 설정하지 않을 경우, 최대 대역폭 사용량에 도달한 기간 동안 많은 패킷 손실이 발생하게 돼요. 따라서 어떤 값으로 설정했을 때 접속이 가장 쾌적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러 값을 집어넣어서 찾아보세요. 그런 후 BandwidthBurst와 BandwidthRate 값을 동일하게 설정하세요.

Linux 기반 Tor 노드는 별개의 독자적인 옵션이 존재해요: 해당 노드는 주어진 기기에서 Tor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다른 트래픽보다 우선시할 수 있어요. 이를 통해 해당 노드 사용자의 트래픽은 Tor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거죠. 위와 같이 하는 방법을 설명한 문서를 Tor의 source distribution내 contrib 디렉터리에서 살펴볼 수 있어요.

Additionally, there are hibernation options where you can tell Tor to only serve a certain amount of bandwidth per time period (such as 100 GB per month). These are covered in the hibernation entry.

BandwidthRate와 BandwidthBurst의 설정 단위는 Bytes지, Bits가 아님에 유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