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좋아요. Tor 프로젝트에서 '출구 정책'을 시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Tor 중계기 각각에는 출구 정책이 적용돼요. 출구 정책이란 주어진 중계기에서 어떤 아웃바운드 트래픽(outbound connections)을 허용하고 거부할지 규정하는 정책을 말해요. '출구 정책'은 저장소를 통해 Tor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돼요.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원 목적지로의 전송을 거부하는 출구 중계기를 고르는 걸 자동으로 피할 수 있어요. 이런 방식으로 각 중계기는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 호스트,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어요. 이때 남용 가능성과 각 중계기의 상황이 고려돼요. '출구 정책'을 초기 설정대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 진입 노드에서 발생한 문제 해결 지원 를 참고하세요. 그리고 Mike Perry가 작성한 성가신 문제에 최대한 얽히지 않으면서 출구 노드를 운영하는 방법 문서도 읽어보세요.

초기 설정 상 '출구 정책'은 (웹 브라우징과 같은) 대중적인 서비스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한편, (메일과 같이) 남용 가능성이 있는 몇몇 서비스를 제한해요. 또한 (Tor 기본 파일 공유 포트와 같이) Tor가 감당할 수 없는 부하량이 오가는 서비스 또한 제한돼요. torrc 파일을 수정해서 출구 정책을 변경할 수 있어요. 남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 대다수를 피하고자 한다면, torrc 파일 내 설정을 "reject *:*"로 변경하세요. 해당 설정으로 변경 시 중계기는 Tor 네트워크 내 트래픽을 중계하는 데 사용되지만, 외부 웹사이트나 다른 서비스를 접속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게 돼요.

출구 접속을 허용할 때에는 '이름 분석'이 유효한지 확인하세요(즉 컴퓨터에서 인터넷 주소를 올바르게 분해했는지를 확인하세요). (모든 트래픽을 차단하는 방화벽이나 콘텐츠 필터 등에 의해) 주어진 자원이 컴퓨터에 전송될 수 없는 경우, '출구 정책'에서 해당 자원을 단호히 거부하세요. 그러지 않으면 Tor 사용자에게도 영향이 갑니다.